[이코테] 그리디(탐욕법) 알고리즘

728x90

 

그리디 알고리즘(Greedy Algorithm)

  • 어떠한 문제가 있을 때 단순 무식하게, 탐욕적으로 문제를 푸는 알고리즘
  • 즉, 현재 상황에서 지금 당장 좋은 것만 고르는 방법 
  • 코딩테스트에서 문제 유형을 파악하기 어렵다면 먼저 그리디 알고리즘을 의심

 

거스름돈

 

문제 

 

당신은 음식점의 계산을 도와주는 점원이다. 카운터에는 거스름돈으로 사용할 500원, 100원, 50원, 10원짜리 동전이 무한히 존재한다고 가정한다. 손님에게 거슬러 줘야 할 돈이 N원 일 때, 거슬러 줘야 할 동전의 최소 개수를 구하라. 단, 거슬러 줘야 할 돈 N은 항상 10의 배수이다.

 

내 풀이

n = int(input())
answer = 0
lst = [500, 100, 50, 10]

for i in lst:
  answer += n // i
  n %= i

print(answer)

# 1260
# 6

 

시간 복잡도

 

화폐의 종류가 K개라고 할 때 위 코드의 시간 복잡도는 O(K)이다. 즉, 거슬러 주어야 할 돈 N은 시간 복잡도와 무관하다.

 

그리디 알고리즘의 정당성

그리디 알고리즘을 통해 문제를 해결한 경우에는 해당 방법이 정당한지 검토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.

 

거스름돈 문제를 그리디 알고리즘으로 해결할 수 있었던 이유는 갖고 있는 동전 중 큰 단위가 항상 작은 단위의 배수이므로 작은 단위의 동전들을 종합해 다른 해가 나올 수 없기 때문이다.

 

이처럼 문제 풀이를 위한 최소한의 아이디어를 떠올리고 이것이 정당한지 검토할 수 있어야 답을 도출할 수 있다.

 

 

큰 수의 법칙

 

문제

 

'큰 수의 법칙'이란 다양한 수로 이루어진 배열이 있을 때 주어진 수들을 M번 더하여 가장 큰 수를 만드는 법칙이다. 단, 배열의 특정한 인덱스에 해당하는 수가 연속해서 K번 초과하여 더해질 수 없는 것이 이 법칙의 특징이다.

 

ex) 2, 4, 5, 4, 6으로 이루어진 배열이 있을 때 M = 8, K = 3이면

인덱스의 수가 연속해서 세 번까지만 더해질 수 있으므로 큰 수의 법칙에 따른 결과는 6 + 6 + 6 + 5 + 6 + 6 + 6 + 5인 46

 

단, 서로 다른 인덱스에 해당하는 수가 같은 경우에도 서로 다른 것으로 간주

ex) 3, 4, 3, 4, 3으로 이루어진 배열은 두 번째 4와 네 번째 4를 번갈아 사용 가능 

 

풀이

# N: 배열의 크기, M: 숫자가 더해지는 횟수, K: 최대한 쓸 수 있는
N, M, K = map(int,input().split())
data = list(map(int,input().split()))

data.sort()             # 리스트 정렬
first = data[N - 1]     # 첫 번째 큰 수
second = data[N - 2]    # 두 번째 큰 수

result = 0

while True:
    for i in range(K): # 가장 큰 수를 K번 더하기
        if M == 0:
            break
        result += first
        M -= 1          # 더할 숫자의 횟수를 하나씩 줄여가는 역할
    if M == 0:
        break
    result += second
    M -= 1

print(result)

 

만약 M의 값이 커진다면 TimeOut이 될 수 있다.

 

더 효율적인 풀이

  • 반복되는 수열의 길이 = (K+1)
  • M을 (K+1)로 나눈 몫 = 반복되는 횟수
  •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
    • int(M / (K + 1)) * K + M % (K + 1)
    • 가장 큰수가 더해지는 횟수를 구한 다음 이를 이용해 두번째로 큰수가 더해지는 횟수까지 구할 수 있다.
       
N, M, K = map(int,input().split())
data = list(map(int,input().split()))

data.sort()             # 리스트 정렬
first = data[N - 1]     # 첫 번째 큰 수
second = data[N - 2]

# 가장 큰 수가 더해지는 횟수 계산
count = int(M / (K + 1)) * K
count += M % (K + 1)

result = 0
result += (count) * first   # 가장 큰 수더하기
result += (M - count) * second  # 두 번째로 큰 수 더하기

print(result)

 

1. 모험가 길드

#모험가길드
N = int(input())
data = list(map(int,input().split()))
data.sort()

group_cnt = 0     # 그룹 수
traveler = 0     # 현재까지 확인한 모험가의 수

for i in data:
    traveler += 1
    if traveler >= i:
        group_cnt += 1  # 그룹 수
        traveler = 0    # 초기화 후 반복

print(group_cnt)

 

  • traveler에 1을 더하여 현재까지 확인한 모험가의 수를 업데이트
  • 만약 traveler가 현재 확인한 모험가의 공포도보다 크거나 같다면, 이 모험가를 포함한 그룹을 만들 수 있으므로 group_cnt를 1 증가시키고, traveler를 0으로 초기화하여 다음 그룹을 위한 준비
  • 반복문이 끝나면 최대 그룹 수인 group_cnt를 출력

 

2. 곱하기 혹은 더하기

내 풀이

S = list(map(int, input()))

nums = 1
for num in S:
    if num == 0 or num == 1:
        nums += num 
    else:
        nums *= num
        
print(nums)

 

  • 0과 1인 경우를 제외하면 곱하기가 유리
    • ex) 129이면 (1+2)*9 = 27, 1*2*9 = 18 
  • 곱하기 할 경우를 생각해 nums를 0이 아닌 1로 지정

 

정답

data = input()

result = int(data[0])

for i in range(1, len(data)):
  num = int(data[i])
  if num <= 1 or result <= 1:
    result += num
  else:
    result *= num

print(result)

 

3. 만들 수 없는 금액

정답

N = int(input())
nums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nums.sort()  

target = 1
for num in nums:
    if target >= num:
        target += num

print(target)
  • 만들 수 있는 최솟값인 1을 target에 선
  • target보다 다음 동전의 금액이 작거나 같다면, target에 그 동전의 금액을 더하기
  • 만약 target보다 다음 동전의 금액이 크다면, target이 만들 수 없는 최소 금액

 

4. 볼링공 고르기 

정답

n, m = map(int, input().split())
data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
array = [1
  ] * 10  # 각 무게의 볼링공이 몇 개 있는지를 카운트하는 리스트를 생성( 배열 )

for x in data:

    array[x] += 1   # 입력받은 볼링공의 무게를 기준으로 무게별로 카운트

result = 0 # 결과 초기화

for i in range(1, m+1):
    n -= array[i]   # 선택할 수 있는 볼링공의 수는 현재 총 볼링공의 수에서 현재 무게의 볼링공의 수를 뺀 값
    result += array[i] * n # 현재 무게의 볼링공을 선택할 경우, 다른 무게의 볼링공과의 조합 수를 곱해서 결과에 더한다

print(result)

 

다른 방법

N, M = map(int, input().split())

K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
result = 0

for i, j in enumerate(K):
  for k in K[i+1:]:
    if j == k:
      continue
    else:
      result += 1

print(result)

[출처] 이코테 파트 3 파이썬 문제 풀이 및 내가 생각한 답, 05.볼링공 고르기|작성자 passgiant
  • enumerate를 사용해서 풀고 싶었는데 실패
  • 다른 분 풀이 ver

 

참고 교재, 영상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_IZuE7NIeW4

728x90